전체메뉴보기
홈페이지의 모든 메뉴를 살펴 보실 수 있는 사이트 맵 입니다.

논문작성규정

1. 논문 내용

① 국문 투고 논문은 아래와 같은 5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.

  1. 1. 논문 제목(국문, 영문)
  2. 2. 투고자명(국문, 영문)
  3. 3. 주제어(국문, 영문)
  4. 4. 각주 및 참고문헌(페이지 포함)
  5. 5. 초록(국문, 영문)

② 공동 연구 논문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.

  1. 1. 공동 저자명을 차례로 병기하되 연구에 끼친 기여도를 반영하여, 좌로부터 제1저자, 제2저자(계속될 때에 추가) 순으로 기록하며, 논문 첫 장에 각주로 제1저자 및 제2저자임을 명시한다. 연구에 끼친 기여도가 동일할 때는 저자명의 가나다 순으로 기록한다.
  2. [예시] 김동경* 정종원** (각주에 * 제1저자, ** 제2저자 명시)
  3. 2. 주 저자와 교신저자를 명시해야 할 경우에는 논문 첫 장에 각주로 주저자 및 교신저자임을 명시한다.
  4. [예시] 김동경* 정종원** (각주에 * 주저자 **교신저자 명시)

③ 저자 정보는 논문의 본문 파일에는 익명심사를 위하여 저자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다.

④ 투고 논문은 국문 혹은 외국어로 된 다른 학술지 등에 실리지 않은 것으로 학위 논문으로 발간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. 단, 학위논문의 축약본이나 일부를 투고할 경우에도 그 사실을 명시하여야 한다.

⑤ 논문은 자연치유 통합 학문적 연구를 지향하며, 자연치유와 건강증진, 질병 예방등의 자연치유 제 분야에 관한 것이어야 하며, 사회 공동체 발전에 적용성이 높은 논문을 권장한다.

⑥ 논문에는 각주를 사용한다.

 

2. 초록

① (내용과 구조) 논문의 목적, 연구 방법론, 연구 내용, 연구의 가치 등을 소개해야 한다.

② (분량) 국문 초록과 영문 초록은 각각 A4 반 페이지 이내로 해야 한다.

③ (제목 및 인적 사항) 논문 제목과 성명을 포함해야 한다.

 

3. 논문 순서

① 제목

② 투고자명(이름, 소속, 전공분야 등)

③ 국문 초록과 영문 초록은 제7조 ②에 따른다.

④ 본문: 'Ⅰ. 들어가는 말, Ⅱ. 본문 1, Ⅲ. 본문 2, Ⅳ. 나가는 말'의 형식으로 구성된다.

⑤ 번호 붙임은 I, II -> 1, 2 -> 1), 2) -> (1), (2) -> ①, ②의 순으로 한다.

⑥ 참고문헌은 <표2>에 맞게 작성한다.

⑦ 주제어는 ‘국문 주제어, 영문 주제어’의 순으로 작성한다. 색인의 DB를 위해 각각 5개 단어 이상으로 기재한다.

 

4. 세부 사항

1) 글자 모양

(1) 글꼴(국문, 영문) : 바탕

(2) 장평 : 100%

(3) 자간 : 0%

2) 문단 모양 : 줄간격 160%

3) 번호 붙임은 I, II -> 1, 2 -> 1), 2) -> (1), (2) -> ①, ②의 순으로 한다.

4) 글씨 크기

(1) 로마자(들어가는 말, 나가는 말 및 본문 내 제목 포함)는 12pt로 한다.

(2) 본문 내 인용구와 각주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10pt로 한다.

(3) 본문 내 인용구: 폰트는 9pt, 좌우여백은 20pt, 들여쓰기 및 큰따옴표(" ")를 하지 않는다. 단, 강조나 인용구 표시는 작은 따옴표(' ')를 한다.

(4) 인용문이 두 개 이상일 경우 쌍반점( ; )을 사용하여 연결한다.

5) 편집 용지

(1) 위쪽, 아래쪽: 15.0

(2) 왼쪽, 오른쪽: 25.0

(3) 머리말, 꼬리말: 15.0

(4) 들여쓰기: 10.0

 

<각주, 참고문헌, 논문번호에 관하여>

1. 각주작성 방식

각주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통일한다. 모든 논문 제목은 쌍따옴표로, 잡지나 정기간행물 이름은 외꺽쇠괄호「 」로, 국문도서의 경우는 쌍꺽쇠괄호『 』로 묶어 표기한다. 단, 외국어 도서제목과 잡지제목은 모두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

- 같은 논문이나 책을 바로 다음에 다시 인용할 경우: 앞의 논문(또는 앞의 책), 210.

- 동일저자의 논문이나 저서를 각주 한 개 이상 건너 뛰어 다시 인용할 경우: Karl Barth, 제목, 224.

1) 논문 인용의 경우:

이경숙, “한국 여성신학의 발자취와 미래: 주제별 고찰과 내일의 과제,” 「한국기독교신학논총」 50 (2007), 175.

Joel Marcus, “Entering into the Kingly Power of God,” JBL 107(1988/4), 663-664.

2) 저서 인용의 경우:

서중석, 『자연치유의 해석』(서울: 대한자연치유회, 2017), 234.

Daniel J. Harrington, The Gospel of Matthew (Collegeville, MN: The Liturgical Press, 1991), 80.

3) 편역서 인용의 경우:

폴 틸리히/ 송기득 옮김, 『폴 틸리히의 그리스도교 사상사』(서울: 서광사, 1998), 34.

U. Luz, Matthew, vol. 1, tr. by James E. Crouch (Minneapolis: Fortress Press, 1997), 55.

Darrell L. Guder, ed. Mission Church (Grand Rapids: Eerdmans, 1998), 46.

4) 학위논문 인용의 경우:

이영주, “부모의 하나님 개념과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영향,” (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2006), 30.

Jung Sik Cha, “Confronting Death: The Story of Gethsemane in Mark 14:32-42 and Its Historical Legacy,” (Ph.D. diss. The University of Chicago, 1996), 55-56.

 

2. 참고문헌 작성법

1) 참고문헌 목록 작성은 국문 자료를 먼저 앞에 배치하고 그 뒤에 외국어 자료를 배치한다.

2) 국문의 경우 가, 나, 다 순으로, 영문 및 외국 자료의 경우는 알파벳순으로 각주에서 사용된 자료만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작성한다.

3) 외국인 이름은 각주와 달리 성, 즉 가족명(family name/last name)을 앞에 쓰고 본 이름을 뒤에 쓰며 그 사이를 콤마로 구분한다.

4) 각주 표기와 달리 이름 뒤와 논문/책 제목 뒤에는 콤마가 아닌 마침표로 마감해준다. 책의 경우는 제목 뒤의 출판사 이름 등을 묶은 괄호를 풀어준다.

5) 동 필자/저자에 의해 씌어진 논문/저서가 복수일 경우 일곱 개의 아래 하이픈(_______)을 연속으로 그어 동명 인물임을 밝혀준다.

 

3. 번호 붙이는 순서

I, II -> 1, 2 -> 1), 2) -> (1), (2) -> a), b) -> (a), (b)의 순으로 한다.